아크로팬

산업 경제 테크 게임
사회 생활 자동차 미디어

생활 곳곳 퍼진 ‘환경호르몬’… 우리 아이 ‘성조숙증’ 유발

  • 2024-04-26 10:37
  • ACROFAN=Newswire
  • newswire@acrofan.com
최근 나이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성장이 빠르게 진행되는 성조숙증을 겪는 소아청소년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한 ‘18세 미만 성조숙증 현황’에 따르면 성조숙증 환자는 2018년 10만 1273명에서 2022년 17만 8585명으로 약 80%나 급증했다. 성조숙증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정상적이지 못한 성호르몬 분비 결과로, 최종 키가 작아지거나 또래와 다른 신체변화로 학교생활 적응이 힘들어지는 등 다양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우리 주변 곳곳에 널려 있어 ‘피할 수 없는 적’으로 불리는 환경호르몬은 성조숙증과 관련도가 매우 높다. 성조숙증은 예방 및 조기진단이 매우 어렵기에 이를 야기하는 환경호르몬을 미리 관리하는 게 좋다. 따라서 영유기때부터 환경호르몬 검사를 통해 성조숙증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소아 성장을 방해하는 성조숙증의 주요 요인 ‘환경호르몬’… 성호르몬과 유사한 역할

성조숙증은 성호르몬이 이른 시기에 분비되어 생식기 발달 등 올바른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태다. 주로 만 8세 이전의 여아, 만 9세 이전의 남아에게서 2차 성징인 사춘기가 발생할 때를 말한다. 사상하부-뇌하수체-성선(난소 또는 고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잔성 성조숙증’,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가성 성조숙증’이라 한다. 대부분의 성조숙증은 남아보다는 여아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심각한 병적 원인을 가지는 경우는 남아가 더 많다.

성조숙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남녀 모두에게 음모가 발달하거나 8세 미만의 여아에서 유방 몽우리가 잡히는 경우, 9세 미만 남아에서 음경이 커지거나, 고환이 어른 엄지 손톱 정도 크기(4㎖) 이상 커지는 경우가 있다. 또, 부모들 사이에서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가파른 키 성장이 있다. 이는 일시적으로 키가 증가하여 또래에 비해 발육이 왕성하다고 오해할 수 있으나, 지속해서 골 성숙이 빨라지다 보면 성장판이 조기에 닫히면서 신체 발육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국 성인이 되었을 때에는 평균 키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성조숙증으로 나타나는 신체 변화는 개인마다 다양하기에 정기적으로 몸 상태를 체크하는 등 세심한 관찰이 요구된다.

성조숙증은 유전적 요인과 서구화된 식습관, 스트레스, 소아비만 등 환경적 요인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다. 그 중 ‘환경호르몬’이 성조숙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환경호르몬은 외부 환경에서 우리 몸속으로 흡수되어 체내 정상적인 호르몬의 생성과 작용을 방해하는 내분비교란물질이다. 환경호르몬은 플라스틱 등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화학물질로, 우리 몸에 들어와 성호르몬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내분비계 질서를 망가트린다.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고농도 노출 시 선천성 성기 기형, 성 조숙, 내분비 관련 암 발생, 발달 장애, 지능저하 등을 유발한다. 환경호르몬은 치료가 어렵기에 조기 검사를 통한 회피 및 예방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노출되는 빈도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일상 속에 널려 있는 환경호르몬… 간단하게 노출 여부 확인할 수 있는 ‘소아청소년 내분비교란물질 종합검사’ 각광

환경호르몬은 아이들이 입는 옷, 가방, 학용품, 장난감을 비롯해 영수증, 반찬 용기 등 우리의 일상 속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일상에서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는 △비스페놀 △파라벤 △트리클로산 △프탈레이트 등이 있다. 비스페놀은 성조숙증과 가장 관계가 높으며, 어린 시기에 노출될 경우 추후 불임이나 난임, 당뇨병, 비만 등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파라벤은 화장품 및 제약 제품의 방부제를 통해 노출되며 피부노화, 피부암 등을 일으킨다. 트리클로산은 치약, 비누 세제 등의 향균제 역할을 하는 물질로 폐암, 간암, 유방암 등의 발암물질로 변성 가능성 있으며, 신생아의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관련이 있다는 논문 보고가 있다. 프탈레이트는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과 코팅제에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아동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두뇌발달에 악역향을 미칠 수 있다.

환경호르몬은 사람에 따라 노출 빈도와 상관없이 적은 양에 노출되어도 그 노출 효과가 극대화되며 발병 반응은 각각 상이하다. 특히, 여러 모자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또는 임신 중 또는 생애 초기에 환경호르몬에 노출되었을 경우 여러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어, 산모 또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는 환경호르몬에 노출되지 않게 관리하는 등 특히 조심해야 한다.

최근에는 환경호르몬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소아청소년 내분비교란물질 종합검사’가 주목받고 있다. 국내 유일 내분비계 특화 검사연구센터인 내분비물질분석센터(ESAC)를 운영하는 GC녹십자의료재단은 간단한 소변 검체로 체내의 17종 환경호르몬(비스페놀 4종, 파라벤 3종, 트리클로산 1종, 프탈레이트 9종)의 노출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우리 아이 생활 속 환경호르몬 검사(이하 우생몬)’를 제안한다. 우생몬 검사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와 질량분석기(MS)를 결합한 분석 기술인 LC-MS/MS 검사법으로 매우 민감하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검사 결과는 연령별 참고치가 적용되어 자신의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도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개인 상태에 맞는 생활개선 프로그램이 제시되어 맞춤형 해결책도 받아볼 수 있다.

조성은 GC녹십자의료재단 내분비물질분석센터 센터장(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은 “소아청소년의 성조숙증을 일으키는 환경호르몬은 우리 일상 속 곳곳에 퍼져 있기에, 영유아 시기부터 환경호르몬 노출 정도를 파악해 노출 가능성을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산모이거나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는 ‘우생몬 검사’를 통해, 우리 아이가 생활 속 환경호르몬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지 미리 확인해보고 주의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